1. 변수 State 선언하기 가장 기본적인 hook으로, 클래스형 컴포넌트에서만 가능했던 가변적인 상태를 함수형 컴포넌트에서도 가능하게 함. const [ count, setCount ] = useState(initialValue); useState(initialValue)로 state 초기값을 설정할 수 있는데 initialValue는 state의 초기값으로 설정할 값을 넣어주면 됨. useState() 함수를 호출하면 ① state 변수(count)와 ② state를 갱신할 수 있는 함수(setCount) 배열을 반환함. // 1. 함수형 컴포넌트의 state 초기화 const [count, setCount] = useState(0); // 2 . 클래스형 컴포넌트의 state 초기화 class E..
JavaScript/React 2022. 7. 2. 14:28
1. 변수 State 선언하기 가장 기본적인 hook으로, 클래스형 컴포넌트에서만 가능했던 가변적인 상태를 함수형 컴포넌트에서도 가능하게 함. const [ count, setCount ] = useState(initialValue); useState(initialValue)로 state 초기값을 설정할 수 있는데 initialValue는 state의 초기값으로 설정할 값을 넣어주면 됨. useState() 함수를 호출하면 ① state 변수(count)와 ② state를 갱신할 수 있는 함수(setCount) 배열을 반환함. // 1. 함수형 컴포넌트의 state 초기화 const [count, setCount] = useState(0); // 2 . 클래스형 컴포넌트의 state 초기화 class E..
JavaScript/React 2022. 5. 23. 20:04
1. 함수형 컴포넌트 vs. 클래스형 컴포넌트 /* 1. Welcome 컴포넌트: class 표현 */ class WelcomeC extends React.Component { render() { return Hello, {this.props.name}; }; }; /* 2. Welcome 컴포넌트: 함수 표현 */ function WelcomeF ( {name} ) { return Hello, {name}; } A. Props 값 전달하기 const props = { name: "Sara" } 위와 같은 props를 컴포넌트에 전달하기 위해서는... ① 함수형 컴포넌트 function WelcomeF ( {name} ) { return Hello, {name}; } /* 1. 함수 실행식 이용 */ R..